202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는 베이징 국가실내체육관과 우커송 스포츠센터에서 개최되었다. 남자 토너먼트에는 12개국이, 여자 토너먼트에는 10개국이 참가했다. 남자부에서는 핀란드가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를 꺾고 금메달을, 슬로바키아가 스웨덴을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자부에서는 캐나다가 금메달을, 미국이 은메달을, 핀란드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 아이스하키 -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는 남자부에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여자부에서 미국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여자 아이스하키에서는 대한민국과 북한 단일팀 구성, 남자 아이스하키에서는 NHL 선수 불참으로 주목을 받았다. - 올림픽 아이스하키 - 193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193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는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되었으며, 영국이 캐나다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고, 선수 자격 논란 등의 이슈가 있었으며, 최종 순위는 영국, 캐나다, 미국, 체코슬로바키아 순으로 결정되었다. - 올림픽 아이스하키에 관한 -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는 남자부에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여자부에서 미국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여자 아이스하키에서는 대한민국과 북한 단일팀 구성, 남자 아이스하키에서는 NHL 선수 불참으로 주목을 받았다. - 올림픽 아이스하키에 관한 - 193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193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는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되었으며, 영국이 캐나다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고, 선수 자격 논란 등의 이슈가 있었으며, 최종 순위는 영국, 캐나다, 미국, 체코슬로바키아 순으로 결정되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22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2022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는 2022년 2월 13일부터 2월 20일까지 여자 모노봅, 남자 2인승, 여자 2인승, 남자 4인승 총 4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23개국 165명의 선수가 참가했고, 독일이 금메달 3개로 종합 1위를 기록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22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
2022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는 2022년 2월 12일 베이징 국립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가오팅위가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차민규가 은메달을, 모리시게 와타루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아이스하키 |
대회 | 2022년 동계 올림픽 |
![]() | |
개최지 | 베이징 |
경기장 | 베이징 국립 실내경기장 베이징 우커쑹 스포츠센터 |
날짜 | 2월 3일 ~ 2월 20일 |
참가 선수 | 530명 |
참가 국가 | 13개국 |
세부 종목 | 2개 (남자 1개, 여자 1개) |
이전 대회 | 2018 |
다음 대회 | 2026 |
올림픽 참가 정보 | |
세부 종목 | 남자 여자 |
토너먼트 | 남자 여자 |
선수 명단 | 남자 여자 |
2. 경기장
202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남자 토너먼트는 12개국이 참가하여 진행되었다. 참가국은 IIHF 세계 랭킹을 통해 8개국, 개최국인 중국, 그리고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3개국이 결정되었다.[15] 일본은 2019년 랭킹에서 23위를 기록하여 3차 예선부터 출전했지만 최종 예선 진출에 실패하여, 1998년 대회 이후 올림픽 출전이 무산되었다.[14]
202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경기는 베이징 국가실내체육관과 우커송 스포츠센터에서 개최되었다. 베이징 국가실내체육관의 수용 인원은 19,418명이며, 우커송 스포츠센터의 수용 인원은 15,384명이다. 두 경기장 모두 베이징에 있다.
3. 경기 일정
PR 예선 PO 플레이오프 QF 8강 SF 준결승 B 동메달 결정전 G 금메달 결정전 목 3 금 4 토 5 일 6 월 7 화 8 수 9 목 10 금 11 토 12 일 13 월 14 화 15 수 16 목 17 금 18 토 19 일 20 남자 토너먼트 PR PR PR PR PR PO QF SF B G 여자 토너먼트 PR PR PR PR PR PR QF QF SF B G
4. 남자 토너먼트
토너먼트 형식은 이전 세 번의 올림픽과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4개국씩 3개 조(A, B, C조)로 나뉘어 예선 리그를 진행했고, 각 조 1위 3팀과 2위 중 성적이 가장 좋은 1팀이 8강에 직행했다. 나머지 8개 팀은 플레이오프를 거쳐 8강 진출팀을 가렸다.[15]
2020년 남자 아이스하키 세계 선수권 대회가 취소되면서, 2020년 4월 24일에 IIHF 세계 랭킹을 사용하여 조가 결정되었다.[4][5][6]
당초 전미 하키 선수 협회(NHLPA)와 내셔널 하키 리그(NHL)는 2022년 동계 올림픽에 NHL 선수 참가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합의했으나,[7][8][9] 코로나19로 인해 NHL 일정이 변경되면서 NHL 선수들은 불참하게 되었다.[10]
플레이오프를 거쳐 8강, 준결승, 결승전이 진행되었으며, 핀란드가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슬로바키아는 스웨덴을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19]
4. 1. 개요
4. 2. 예선
2022년 동계 올림픽 남자 아이스하키 토너먼트 출전 자격은 2019년 남자 아이스하키 세계 선수권 대회 이후 IIHF 세계 랭킹에 의해 결정되었다.[17] 상위 8개 팀은 개최국 중국과 함께 자동으로 출전권을 얻었으며, 나머지 3개 팀은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결정되었다.[18]
2019년 IIHF 랭킹[17]에 따른 상위 8개국과 개최국인 중국은 예선을 면제받았다. 남자 일본 대표팀은 2019년 랭킹에서 23위를 기록하여 3차 예선부터 출전했지만 최종 예선 진출에 실패하여,[14] 1998년 대회 이후 올림픽 출전이 무산되었다.
최종 예선은 2021년 8월 26일부터 29일까지[21][22]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라트비아 리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각각 진행되었다. 각 조 1위팀인 슬로바키아, 라트비아, 덴마크가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하였다.
예선 | 일정 | 개최지 | 시드 | 출전국 |
---|---|---|---|---|
개최국 | 2018년 5월[16] | 1 | ||
2019 IIHF 랭킹[17] | 2016년 3월 31일 – 2019년 5월 26일 | 브라티슬라바, 코시체 | 8[18] | ROC |
세계 최종 예선(영어) | 2021년 8월 26 – 29일[21][22] | 브라티슬라바 | 1 | |
리가 | 1 | |||
오슬로 | 1 | |||
합계 | colspan="2" | | 12 |
4. 3. 참가국
202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에는 총 13개국이 참가했다.[6] 남자부에는 12개국, 여자부에는 10개국이 참가했다.국가 | 남자 | 여자 | 선수 |
---|---|---|---|
48 | |||
48 | |||
48 | |||
48 | |||
48 | |||
25 | |||
23 | |||
25 | |||
48 | |||
25 | |||
48 | |||
48 | |||
48 | |||
총: 13개 NOC | 12 | 10 | 530 |
2019년 IIHF 랭킹 상위 8개국과 개최국 중국은 자동 출전권을 얻었다.[16][17] 나머지 국가는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했다.[21][22] 일본은 2019년 랭킹 23위로 3차 예선에 참가했으나 최종 예선 진출에 실패하여, 1998년 대회 이후 올림픽 출전이 무산되었다.[14]
개최국 중국은 선수 부족으로 인해 해외에서 선수들을 영입했다. 남자 대표팀은 캐나다인 11명, 중국인 9명, 미국인 3명, 러시아인 1명으로 구성되었다.[11]
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4개국씩 3개 조로 예선 리그를 진행한 후, 토너먼트 형식으로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15]
4. 4. 조별 리그
A조에는 독일, 미국, 중국, 캐나다가 편성되었다.width="30" | | 팀 | 경기 | 승 | 연장승 | 연장패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미국 | 3 | 3 | 0 | 0 | 0 | 15 | 4 | +11 | 9 | 8강 |
2 | 캐나다 | 3 | 2 | 0 | 0 | 1 | 12 | 5 | +7 | 6 | 플레이오프 |
3 | 독일 | 3 | 1 | 0 | 0 | 2 | 6 | 10 | -4 | 3 | 플레이오프 |
4 | 중국 | 3 | 0 | 0 | 0 | 3 | 2 | 16 | -14 | 0 | 플레이오프 |
B조에는 덴마크,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ROC), 스위스, 체코가 편성되었다.
width="30" | | 팀 | 경기 | 승 | 연장승 | 연장패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ROC) | 3 | 2 | 0 | 1 | 0 | 8 | 6 | +2 | 7 | 8강 |
2 | 덴마크 | 3 | 2 | 0 | 0 | 1 | 7 | 6 | +1 | 6 | 플레이오프 |
3 | 체코 | 3 | 0 | 2 | 0 | 1 | 9 | 8 | +1 | 4 | 플레이오프 |
4 | 스위스 | 3 | 0 | 0 | 1 | 2 | 4 | 8 | -4 | 1 | 플레이오프 |
C조에는 핀란드, 스웨덴, 슬로바키아, 라트비아가 편성되었다.
width="30" | | 팀 | 경기 | 승 | 연장승 | 연장패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핀란드 | 3 | 2 | 1 | 0 | 0 | 13 | 6 | +7 | 8 | 8강 |
2 | 스웨덴 | 3 | 2 | 0 | 1 | 0 | 10 | 7 | +3 | 7 | 8강 |
3 | 슬로바키아 | 3 | 1 | 0 | 0 | 2 | 8 | 12 | -4 | 3 | 플레이오프 |
4 | 라트비아 | 3 | 0 | 0 | 0 | 3 | 5 | 11 | -6 | 0 | 플레이오프 |
4. 4. 1. A조
A조에는 독일, 미국, 중국, 캐나다가 편성되었다.{{#invoke:Sports table|main|style=WDL OT
|update=complete
|source=[https://www.iihf.com/pdf/752/ihm752900_76a_17_0 IIHF]
|team_order=USA, CAN, GER, CHN
|win_CAN=2 |OTwin_CAN=0 |OTloss_CAN=0 |loss_CAN=1 |gf_CAN=12 |ga_CAN=5
|win_USA=3 |OTwin_USA=0 |OTloss_USA=0 |loss_USA=0 |gf_USA=15|ga_USA=4
|win_GER=1 |OTwin_GER=0 |OTloss_GER=0 |loss_GER=2 |gf_GER=6 |ga_GER=10
|win_CHN=0 |OTwin_CHN=0 |OTloss_CHN=0 |loss_CHN=3 |gf_CHN=2 |ga_CHN=16|status_CHN=H
|name_CAN=
|name_USA=
|name_GER=
|name_CHN=
|result1=S |result2=Q |result3=Q |result4=Q
|res_col_header=Q
|col_S=green1 |text_S=8강
|col_P=blue1 |text_P=8강 진출 가능
|col_Q=yellow1 |text_Q=플레이오프
|class_rules=1. 승점, 2. 승자승 결과, 3. 승자승 승점, 4. 승자승 골득실, 5. 승자승 득점, 6. 예선 라운드 전체 경기 성적, 7. 2021년 IIHF 랭킹
}}
4. 4. 2. B조
B조에는 덴마크,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스위스, 체코가 편성되었다.{{#invoke:Sports table|main|style=WDL OT
|update=complete
|source=[https://www.iihf.com/pdf/752/ihm752900_76a_17_0 IIHF]
|team_order=ROC, DEN, CZE, SUI
|win_ROC=2 |OTwin_ROC=0 |OTloss_ROC=1 |loss_ROC=0 |gf_ROC=8 |ga_ROC=6
|win_CZE=0 |OTwin_CZE=2 |OTloss_CZE=0 |loss_CZE=1 |gf_CZE=9 |ga_CZE=8
|win_SUI=0 |OTwin_SUI=0 |OTloss_SUI=1 |loss_SUI=2 |gf_SUI=4 |ga_SUI=8
|win_DEN=2 |OTwin_DEN=0 |OTloss_DEN=0 |loss_DEN=1 |gf_DEN=7 |ga_DEN=6
|name_ROC=
|name_CZE=
|name_SUI=
|name_DEN=
|result1=S |result2=Q |result3=Q |result4=Q
|res_col_header=Q
|col_S=green1 |text_S=8강
|col_P=blue1 |text_P=8강 진출 가능
|col_Q=yellow1 |text_Q=플레이오프
|class_rules=1. 승점, 2. 승자승 결과, 3. 승자승 승점, 4. 승자승 골득실, 5. 승자승 득점, 6. 예선 라운드 전체 경기 성적, 7. 2021년 IIHF 랭킹
}}
4. 4. 3. C조
wikitext{{#invoke:Sports table|main|style=WDL OT
|update=complete
|source=[https://www.iihf.com/pdf/752/ihm752900_76a_17_0 IIHF]
|team_order=FIN, SWE, SVK, LAT
|win_FIN=2 |OTwin_FIN=1 |OTloss_FIN=0 |loss_FIN=0 |gf_FIN=13 |ga_FIN=6
|win_SWE=2 |OTwin_SWE=0 |OTloss_SWE=1 |loss_SWE=0 |gf_SWE=10 |ga_SWE=7
|win_SVK=1 |OTwin_SVK=0 |OTloss_SVK=0 |loss_SVK=2 |gf_SVK=8 |ga_SVK=12
|win_LAT=0 |OTwin_LAT=0 |OTloss_LAT=0 |loss_LAT=3 |gf_LAT=5 |ga_LAT=11
|name_FIN=
|name_SWE=
|name_SVK=
|name_LAT=
|result1=S |result2=S |result3=Q |result4=Q
|res_col_header=Q
|col_S=green1 |text_S=8강
|col_P=blue1 |text_P=8강 진출 가능
|col_Q=yellow1 |text_Q=플레이오프
|class_rules=1. 승점, 2. 승자승 결과, 3. 승자승 승점, 4. 승자승 골득실, 5. 승자승 득점, 6. 예선 라운드 전체 경기 성적, 7. 2021년 IIHF 랭킹
}}
4. 5. 결선 토너먼트
플레이오프 라운드[19]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8강 진출 팀은 다음과 같다.
- 미국 (A조 1위, 1D)
- 핀란드 (C조 1위, 2D)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B조 1위, 3D)
- 스웨덴 (C조 2위, 4D)
나머지 4개 팀은 플레이오프를 거쳐 8강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를 통과한 8개 팀이 8강에 진출했다. 8강 대진은 다음과 같다.[19]
플레이오프 라운드를 통과한 핀란드와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 스웨덴, 슬로바키아가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19]
준결승전은 2022년 2월 18일에 진행되었다. 핀란드는 슬로바키아를 2: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고,[19]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는 스웨덴을 승부샷 끝에 2:1로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19]
202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동메달 결정전은 2022년 2월 19일에 국가 실내 경기장에서 열렸다.[19] 이 경기에서 슬로바키아가 스웨덴을 4-0으로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슬로바키아는 올림픽 아이스하키 역사상 처음으로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반면, 스웨덴은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은메달 이후 2개 대회 연속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플레이오프 라운드를 통과한 핀란드와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가 2022년 2월 20일에 금메달 결정전을 진행했다.[19] 핀란드는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를 2-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4. 5. 1.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라운드[19]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8강 진출 팀은 다음과 같다:
- 미국 (A조 1위, 1D)
- 핀란드 (C조 1위, 2D)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B조 1위, 3D)
- 스웨덴 (C조 2위, 4D)
나머지 4개 팀은 플레이오프를 거쳐 8강에 진출했다.
4. 5. 2. 8강전
플레이오프를 통과한 8개 팀이 8강에 진출했다. 8강 대진은 다음과 같다.[19]4. 5. 3. 준결승전
플레이오프 라운드를 통과한 핀란드와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 스웨덴, 슬로바키아가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19]준결승전은 2022년 2월 18일에 진행되었다. 핀란드는 슬로바키아를 2: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고,[19]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ROC)는 스웨덴을 승부샷 끝에 2:1로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19]
4. 5. 4. 동메달 결정전
202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동메달 결정전은 2022년 2월 19일에 국가 실내 경기장에서 열렸다.[19] 이 경기에서 슬로바키아가 스웨덴을 4-0으로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슬로바키아는 올림픽 아이스하키 역사상 처음으로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반면, 스웨덴은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은메달 이후 2개 대회 연속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4. 5. 5. 금메달 결정전
플레이오프 라운드를 통과한 핀란드와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가 2022년 2월 20일에 금메달 결정전을 진행했다.[19] 핀란드는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를 2-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5. 여자 토너먼트
2022년 동계 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 토너먼트에는 10개국이 참가했다. 지난 대회에는 8개 팀이 출전했으나, 이번 대회에서는 5개국씩 2개 조(그룹 A는 IIHF 랭킹 상위, 그룹 B는 하위)로 나뉘어 예선 리그를 치렀다.[15] 그룹 B 상위 3개국과 그룹 A 5개국이 결선 토너먼트를 치렀다.[15]
2020년의 IIHF 랭킹에 따른 상위 6개국과 개최국 중국은 예선을 면제받았다. 일본은 2020년 랭킹에서 6위를 차지하여 예선을 치르지 않고 3회 연속 올림픽 출전이 결정되었다.[20] 6개국은 IIHF 세계 랭킹을 통해, 개최국 중국을 포함, 3개국은 2021년 11월에 열린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진출했다.[12]
예선 | 일정 | 개최지 | 출전 쿼터 | 출전 국가 |
---|---|---|---|---|
개최국 | 2018년 5월[16] | 1 | ||
2020 IIHF 랭킹[17] | 2016년 12월 12일 – 2020년 4월 10일 | 6[18] | ROC | |
최종 예선(영어) | 2021년 11월 11 – 14일[21][22] | 호무토프 | 1 | |
퓌센 | 1 | |||
룰레오 | 1 | |||
합계 | colspan=2| | 10 |
예선 조 편성 및 일정은 2020년 IIHF 연례 회의에서 결정될 예정이었다.
'''A조'''
'''B조'''
- 덴마크
- 스웨덴
- 일본
- 중국
- 체코
5. 1. 개요
5. 2. 예선
202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출전 자격은 2020년 여자 아이스하키 세계 선수권 대회 이후의 IIHF 세계 랭킹에 의해 결정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되었다.[17][18] 상위 6개국은 2020년에 열리지 않은 토너먼트의 랭킹 점수에 대한 시드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17][18]2020년 IIHF 랭킹에 따른 상위 6개국과 개최국 중국은 예선을 면제받았다.[16] 일본은 2020년 랭킹에서 6위를 차지하여 예선을 치르지 않고 3회 연속 올림픽 출전이 결정되었다.[20]
8개 팀이 출전했던 지난 대회와 달리, 5개국씩 2개 조(그룹 A는 IIHF 랭킹 상위, 그룹 B는 하위)로 나뉘어 예선 리그를 치른 후, 그룹 B 상위 3개국과 그룹 A 5개국이 결선 토너먼트를 치른다.[15]
최종 예선은 2021년 11월 11일부터 14일까지 진행되었다.[21][22]
예선 | 일정 | 개최지 | 출전 쿼터 | 출전 국가 |
---|---|---|---|---|
개최국 | 2018년 5월[16] | 1 | ||
2020 IIHF 랭킹[17] | 2016년 12월 12일 – 2020년 4월 10일[17] | 6[18] | ROC | |
최종 예선(영어) | 2021년 11월 11 – 14일[21][22] | 호무토프 | 1 | |
퓌센 | 1 | |||
룰레오 | 1 | |||
합계 | colspan=2| | 10 |
국가 | 남자 | 여자 | 선수 |
---|---|---|---|
48 | |||
48 | |||
48 | |||
48 | |||
48 | |||
25 | |||
23 | |||
25 | |||
48 | |||
25 | |||
48 | |||
48 | |||
48 | |||
총: 13개 NOC | 12 | 10 | 530 |
5. 3. 참가국
202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에는 총 13개국이 참가했다. 남자부에는 12개국, 여자부에는 10개국이 출전했다.[6]국가 | 남자 | 여자 | 선수 |
---|---|---|---|
48 | |||
48 | |||
48 | |||
48 | |||
48 | |||
25 | |||
23 | |||
25 | |||
48 | |||
25 | |||
48 | |||
48 | |||
48 | |||
총: 13개 NOC | 12 | 10 | 530 |
여자부의 경우, 2020년 IIHF 랭킹 상위 6개국과 개최국 중국은 예선을 면제받았다.[20] 일본은 2020년 랭킹 6위로 예선 없이 올림픽에 진출했다.[20] 나머지 3개국은 최종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체코, 덴마크, 스웨덴이 예선 시드 배정에 따라 결정되었다.[6]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는 8개 팀이 출전했지만, 이번 대회에서는 5개국씩 2개 조(그룹 A는 IIHF 랭킹 상위, 그룹 B는 하위)로 나뉘어 예선 리그를 치렀다.[15] 그룹 B 상위 3개국과 그룹 A 5개국이 결선 토너먼트를 진행했다.[15]
여자부 조 편성은 다음과 같다.
A조 | B조 |
---|---|
5. 4. 조별 리그
'''A조''''''B조'''
- 덴마크
- 스웨덴
- 일본
- 중국
- 체코
2020년의 IIHF 랭킹에 따른 상위 6개국과 개최국 중국은 예선을 면제받았다. 특히, 일본은 2020년 랭킹에서 6위를 차지하여 예선을 치르지 않고 3회 연속 올림픽 출전이 결정되는 쾌거를 이루었다.[20]
8개 팀이 출전했던 지난 대회와 달리, 5개국씩 2개 조(그룹 A는 IIHF 랭킹 상위, 그룹 B는 하위)로 나뉘어 예선 리그를 치른 후, 그룹 B 상위 3개국과 그룹 A 5개국이 결선 토너먼트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5]
5. 4. 1. A조
5. 4. 2. B조
- 덴마크
- 스웨덴
- 일본
- 중국
- 체코
2020년의 IIHF 랭킹에 따른 상위 6개국과 개최국 중국은 예선을 면제받았다. 일본은 2020년 랭킹에서 6위를 차지하여 예선을 치르지 않고 3회 연속 올림픽 출전이 결정되었다[20]。
8개 팀이 출전했던 지난 대회와 달리, 5개국씩 2개 조(그룹 A는 IIHF 랭킹 상위, 그룹 B는 하위)로 나뉘어 예선 리그를 치른 후, 그룹 B 상위 3개국과 그룹 A 5개국이 결선 토너먼트를 치른다[15]。
5. 5. 결선 토너먼트
2020년 IIHF 랭킹 상위 6개국과 개최국 중국은 예선을 면제받았다. 일본은 2020년 랭킹에서 6위를 차지하여 예선을 치르지 않고 3회 연속 올림픽 출전이 결정되었다.[20]8개 팀이 출전했던 지난 대회와 달리, 5개국씩 2개 조(그룹 A는 IIHF 랭킹 상위, 그룹 B는 하위)로 나뉘어 예선 리그를 치른 후, 그룹 B 상위 3개국과 그룹 A 5개국이 결선 토너먼트를 치른다.[15]
예선 | 일정 | 개최지 | 출전 쿼터 | 출전 국가 |
---|---|---|---|---|
개최국 | 2018년 5월[16] | 1 | 중국 | |
2020 IIHF 랭킹[17] | 2016년 12월 12일 – 2020년 4월 10일 | 6[18] | 미국 캐나다 핀란드 ROC 스위스 일본 | |
최종 예선(영어) | 2021년 11월 11 – 14일[21][22] | 호무토프 | 1 | 체코 |
퓌센 | 1 | 덴마크 | ||
룰레오 | 1 | 스웨덴 | ||
합계 | colspan=2| | 10 |
5. 5. 1. 8강전
2020년 IIHF 랭킹 상위 6개국과 개최국 중국은 예선을 면제받았다. 일본은 2020년 랭킹에서 6위를 차지하여 예선을 치르지 않고 3회 연속 올림픽 출전이 결정되었다.[20]8개 팀이 출전했던 지난 대회와 달리, 5개국씩 2개 조(그룹 A는 IIHF 랭킹 상위, 그룹 B는 하위)로 나뉘어 예선 리그를 치른 후, 그룹 B 상위 3개국과 그룹 A 5개국이 결선 토너먼트를 치른다.[15]
예선 | 일정 | 개최지 | 출전 쿼터 | 출전 국가 |
---|---|---|---|---|
개최국 | 2018년 5월[16] | 1 | ||
2020 IIHF 랭킹[17] | 2016년 12월 12일 – 2020년 4월 10일 | 6[18] | ROC | |
최종 예선(영어) | 2021년 11월 11 – 14일[21][22] | 호무토프 | 1 | |
퓌센 | 1 | |||
룰레오 | 1 | |||
합계 | colspan=2| | 10 |
5. 5. 2. 준결승전
소스와 요약 자료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준결승전에 대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5. 5. 3. 동메달 결정전
요약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동메달 결정전'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을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5. 5. 4. 금메달 결정전
(요약(summary) 내용이 비어있어 원본 소스에서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6. 메달 집계
남자[24] | 빌레 포카 니클라스 프리만 미코 레흐토넨 마르코 안틸라 발테리 케미라이넨 밀로 아르토넨 니코 오야마키 한네스 비에르니넨 토니 라야라 요나스 나티넨 하리 사테리 프랑스 투오히마 유소 히에타넨 페테리 린드보름 사미 바타넨 유시 올키누오라 발테리 필풀라 아테 오흐타마 마르쿠스 그란룬드 사카리 만니넨 테무 하르티카이넨 레오 코마로프 사쿠 마에날라넨 이로 파칼리넨 하리 페소넨 | 알렉산드르 엘레신 세르게이 체레긴 드미트리 보론코프 세르게이 안드로노프 파벨 카르나우호프 세르게이 프로토니코프 스타니슬라프 갈리에프 아르투르 카유모프 미하일 그리고렌코 뱌체슬라프 보이노프 이반 페도토프 알렉산드르 사모노프 다미르 샤리프샤노프 에고르 야코블레프 블라디미르 토카초프 알렉산드르 니키신 안톤 슬레피셰프 아르툠 미누린 안드레이 치비소프 아르세니 그리추크 티무르 빌랄로프 바딤 시파초프 니키타 네스테로프 키릴 세묘노프 니키타 구세프 | 시몬 네메츠 미로시 케레멘 토마스 율초 페테르 체레슈냐크 미할 크리슈토프 유라이 슬라프코프스키 사무엘 크냐슈코 파트리크 리바르 페테르 즈딘 마레크 흐리비크 마르틴 게르나트 마테이 토메크 페테르 체흐라리크 미로시 로만 브라니슬라프 콘라트 미슬라프 로잔디치 사무엘 타카치 마르틴 마린친 마르코 다니오 미할 차이코프스키 마레크 잘로가 리보르 흐다체크 파볼 레겐다 크리스티안 포스피실 아드리안 호렌친스키 |
여자[25] | 조셀린 라로크 레베카 존스턴 로라 스테이시 사라 필리에 질리안 솔니에 레나타 패스트 멜로디 다우 엘라 셸턴 브리안느 제너 사라 너스 애스턴 벨 에린 앰브로스 나탈리 스푸너 에밀리 클라크 에마 마르테 미카 잔디-하트 마리-필리프 풀린 앤-르네 데비안 에머렌스 마시마이어 블레어 턴불 클레어 톰슨 제이미 리 랫트레이 크리스틴 캠벨 | 리 스테클라인 카일라 번스 캐롤라인 하비 메건 켈러 메건 보제크 애비 로크 켈리 패넥 그레이스 잠윈클 브리아나 데커 사바나 하먼 헤일리 스캄라 제시 컨퍼 지니시 단 한나 브란트 힐러리 나이트 대니 카메라네시 알렉스 카펜터 켄달 코인 스코필드 아만다 케셀 니콜 헨슬리 알렉스 카발리니 매디 루니 애비 머피 | 에베리나 매키넨 시니 칼라라넨 옌니 히이리코스키 산니 란탈라 엘라 비타수오 넬리 라이티넨 엘리사 호로파이넨 산니 반하넨 민나마리 투오미넨 페트라 니에미넨 메리 라이사넨 산니 하칼라 비비 바이니카 율리아 리칼라 옌니나 뉘룬드 에밀리아 베사 미셸 칼비넨 소피안나 슨데린 안니 케이살라 노라 투루스 탄야 니스카넨 수산나 타파니 론야 사보라이넨 |
;국가별 메달 획득 수
국가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gold; width:|wikitable sortable}}"|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silver; width:}|wikitable sortable}}"|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c96; width:}|wikitable sortable}}"| !scope="col" style="width:}|wikitable sortable}};"| |- | 1 || align="left"| || 1 || 0 || 1 || 2 |- | 2 || align="left"| || 1 || 0 || 0 || 1 |- |rowspan=2| 3 || align="left"| || 0 || 1 || 0 || 1 |- | align="left"| || 0 || 1 || 0 || 1 |- | 5 || align="left"| || 0 || 0 || 1 || 1 |- ! colspan="2" | 합계 || 2 || 2 || 2 || 6 |} 7. 메달리스트
참조
[1]
뉴스
Olympic women's hockey tournament to expand to 10 teams in 2022
https://globalnews.c[...]
Canadian Press
2021-11-14
|
---|